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납부액 조회하기
지난번 포스팅에서 노후 대비를 위한 국민연금, 퇴직연금, 공무원연금, 개인연금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국민연금 예상수령액과 납부액을 조회하는 방법을 안내해드리려고 합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하기>
국민연금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우선 국민연금공단에 접속해야합니다. 초록창에 국민연금공단 검색 후 '내 연금 알아보기'를 바로 클릭해주세요. 인증 없이 간단하게 소득과 가입기간은 입력해서 계산하는 방법도 나와있지만 보다 정확하게 알아보기 위해서 인증수단을 활용한 예상연금액 조회를 눌러주세요.

예상연금액 조회를 누르면 아래처럼 팝업창이 뜨는데 우리는 국민연금을 조회하러 왔기 때문에 왼쪽을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이렇게 로그인 화면이 뜹니다.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 후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해주세요.

보안 프로그램은 필수입니다. 1개밖에 없으니 넘어가 줄 만하네요. 로그인만 하면 바로 예상수령액이 나타납니다.

현재 가치에 따른 예상연금액이 나옵니다. 여기에 향후 5년 간 소득상승률을 반영한 결과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수급 개시일자도 확인할 수 있는데 저는 2056년 4월부터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다고 나오네요.
예상 총 납부월수는 총 399개월이라고 나오는데 지금부터 쉬지 않고 일해야 나오는 수치겠네요.
399개월을 쉬지 않고 보험료를 납부했을 경우 예상 납부보험료 총액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하기>
그렇다면 내가 지금까지 납부한 국민연금은 총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상단에 링크를 통해서 아까와 같은 화면으로 접속해주세요. 그리고 이번엔 가입·납부내역 조회를 클릭해줍니다.

예상수령액 조회에 이어서 보시면 로그인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바로 납부내역이 나오는데요.

지금까지 국민연금을 납부한 총 개월 수와 금액이 바로 나옵니다. 납부하지 않은 연금보험료는 이번 달 납부 분으로 회사에서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거니까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현재 납부 개월 수와 아까 보았던 예상 총 납부월수의 차이가 엄청나네요. 국민연금 수령까지 갈 길이 구만리입니다.

총 납부내역 아래로는 연금보험료 상세내역, 기타 상세내역, 예상연금월액(노령연금)의 항목이 나옵니다.
연금보험료 상세내역은 직장가입내역이 나와서 여태까지 이직한 직장에서 가입했던 기간과 납부했던 금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
기타 상세내역은 나오는 게 없네요.
예상연금월액은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간단하게 표시해주는 항목입니다.
-마무리-
매달 월급에서 떼어가는 국민연금이 얼마나 쌓여있는지 그리고 내가 언제 얼마만큼 받게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 아직 국민연금 받을 나이가 멀어서 그런지 실감은 잘 안 나네요. 그래도 국민연금공단에서 잘 관리해주고 있으니 퇴직 후 연금 라이프를 기대해봅니다.
'재테크 공부 > 경제생활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목돈 만들기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 조건,지원자격,신청방법,중도해지 (0) | 2020.07.11 |
---|---|
청년 목돈 만들기 '청년내일채움공제' - 조건,지원자격,신청방법,중도해지 (0) | 2020.07.06 |
따뜻한 노후 대비 - 퇴직 후 국민연금, 퇴직연금/공무원연금, 개인연금 총 정리 (0) | 2020.06.29 |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일하는 청년통장) - 지원대상, 자격, 신청방법, 신청서류 (0) | 2020.06.25 |
'저소득층 구직촉진수당' - 취성패 참여시 3개월간 150만원 지급, 신청방법 총 정리 (0) | 2020.06.24 |
댓글